마케팅 전략
-
보험상품은 비자발적 상품으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으로 고객과의 접촉이 필요하다. 비대면, 대면
두가지 채널을 이용하여 고객과의 접촉을 강화하고, 다양한 홍보 전략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에 기여한다.
1. 대면 채널
1) 보험설계사
-
실제 자녀 보육 경험이 있는 중년 기혼 여성들을
바탕으로 판매팀 구성. 이를 통하여 보험의 필요성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고, 경험을 바탕으로 한 최적의 상품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2) 보험대리점
-
신생 보험회사로 운영 자금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독립보험대리점(비전속보험대리점)을
통해 판매를 진행. 특히,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은 서울
및 수도권 학원가 주변의 보험대리점을 중심으로 판매가 진행되도록 한다.
3) 방카슈랑스
- 은행의 전국적인 지점망을 통해 판매채널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은행 지점의 접근성을 바탕으로 보험상품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자산관리를 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의 금융상품에 대한 조언과 해결책을 한번에 상담 받을 수 있는 one-stop-service를 구현하여 고객, 은행, 보험사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실제로 2015년 22%의 매출 증대를 달성한 흥국생명의 원동력이 방카슈랑스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2.
비대면 채널
1) 홈 슈랑스
2)
모바일 방카슈랑스
- 고객이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등을 통해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동일 보장의 기존 상품 대비 보험료가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특정 은행과의 제휴를 통해 은행 모바일 앱(App)을 통해 보험가입이
가능하게 만들어 판매 (우리가 만드는 회사 같은 소규모 회사가 가능할 지는 확실치 않음). 핀테크, 종합금융 시대에 맞추어 고객과의 접점 확보가 가능하다.
3.
홍보전략
-소아과 광고(소아과 내부
광고 / 아이들이 많이 걸리는 병 통계 확인 후 관련 계통 병원과의 제휴?)
-TV
광고 – 주부들의
TV시청이 잦다는 것을 이용, 특히 주부들의 TV시청이 잦은 시간대(아침 드라마 등)를 이용하여 광고
-학원가 전략 (대형 학원과의
광고 제휴, 학원가 플랜카드 등 이용)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