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은행원이 알려주는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


은행원이 알려주는 신용등급 올리는 방법


내 신용등급은 얼마일까? 대출받을 때 나는 얼마나 금리 감면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시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의 신용등급을 올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용카드의 한도를 상향시키고 그만큼 쓰지 않는 것

- 신용카드의 한도는 그 사람의 신용등급을 토대로 산정됩니다. 물론 모든 카드사가 동일한 A에게 동일한 한도를 부여하는 것은 아닙니다. 등급이 4등급인 사람 A에게 어떤 카드사는 500만원의 한도를, 어떤 카드사는 1000만원의 한도를 부여합니다. '한도'라는 것은 카드사에서 A라는 사람이 한달에 쓰고 갚을 수 있는 카드금액을 부여한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카드사에서 A에게 500만원의 한도를 부여했다는 것은 A가 500만원의 한도를 갚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죠. 

특정한 분들(EX. 소비를 자제 못하는 사람들, 신용카드 한도까지 최대로 금액을 다 쓸어다 쓰시는분들)은 물론 한도를 상향 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제 친구중에서도 몇몇 있는데요 '한도'까지 매일 끌어다 쓰시는 분들은 상향시키지 않는 것이 좋아요 ^^;

하지만 신용등급을 올리기에는 신용카드의 한도를 1000만원까지 상향시켜두고 한달에 100~200만원 정도만 쓰고 매달 잘 갚아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카드사에서 판단하기에 '이 사람은 꾸준히 카드값을 잘 쓰고 잘 갚아나가고 있구나. 계속해서 한도를 상향시켜줘도 되겠어.' 라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2. 체크카드만 쓰는 것보다는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를 병행해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체크카드'는 내가 돈을 쓰는대로 계좌에서 직접 그 돈이 빠져나가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한달에 100만원을 쓰건 200만원을 쓰건 내 '신용등급'과 아무 관계가 없어요.  하지만 신용카드는 나의 신용을 담보로 한달간 카드값을 쓴 후 한번에 결제를 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신용카드 없이 체크카드만 쓰는 것 보다는 신용카드 또한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한달에 200만원을 쓴는 사람이라면 소비금액을 반반 나누어서 100만원 정도는 체크카드를 쓰고, 100만원 정도는 신용카드를 쓰는게 소비습관에도, 신용등급을 상향시키는데도 좋다는 거죠!


3. 대출은 아예 없는 것 보다 대출을 받은 후 잘 상환하는 것이 좋다!


 보통 '대출'을 받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신용등급 면에 있어서는 대출이 아예 없는 사람보다는 대출이 있고, 그 금액을 매달 잘 낲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카드사에도, 은행에서도, 타 금융기관에서도 결국 신용등급이 좋다는 것은 ' 돈 떼일 위험이 없다' 는 것을 뜻합니다. 돈 떼일 위험이 없다 = 돈을 잘 갚고 있다 는 의미와도 비슷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예 대출이 없는 생짜 고객보다는 대출을 받고, 그것에 대해 잘 상환하는 사람이 좋다는 거죠 ^^


 이렇게 오늘은 신용등급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번에는 더 꿀팁으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공무원연금의 재정문제와 개선방안' 발표 ppt (상)

이번 ppt는 사회보험 과목을 들을때 했던 '공무원연금의 재정문제와 개선방안'을 주제로 한 보고서이자 발표 ppt입니다! 사실 공무원연금공단 지원할때 이 이야기를 썼었는데 덕분에 합격할 수 있었어요:) 공무원연금 체계 자체가 가진 문제에 대해서 심도있게 고민해볼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목차는 간단하게 서론에서 발표를 준비하게 된 배경 본론에서 공무원연금제도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해외 사례들중에 좋은 사례가 어떤게 있는지 그걸 토대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형태였어요! 저희 팀말고도 다른 팀들이 다양한 연금문제를 선택했어요 국민연금이라던지 사학연금이라던지 다양한 연금문제를 선택해서 해결방안을 도출했습니다. 공무원연금제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먼저했어요 염금공단과 인사혁신처, 연금취급기관이 함꼐 모여서 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더라구요       제가 붙었었던 공무원연금공단..ㅎ 본사가 제주도에 있더라구요..ㅎ  크게 연금 비용을 부담하는 방식이 두가지로 나뉘는데 비용부담을 하는 기여제 방식과 부과방식으로 나뉘어요, 공무원과 국가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방식인 기여제방식이 있고 연금 기금을 통한 적립방식이었지만 현재는 부과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연금 급여에는 크게 장기급여, 단기급여가 있는데요. 장기급여에는 퇴직급여, 유족급여, 재해보상급여, 퇴직수당이 있어요. 그리고 단기급여는 재해보상급여와 부조급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제부터가 핵심이에요. 뒷부분 해결책과 연결되는 부분인데요. 기존 공무원연금제도의 문제점부분이에요. 첫번째로는 연금급여 자체가 너무나 높은게 기여금이 너무나 낮아서 매년 적자가 발생한다는점. 수지상등의 책임등이 모두 정부에 몰린다는 점이에요. 일례로 군인연금이나 공무원연금의 경우 적자가 나더라도 그 적자를 정부가 다 메꾸어줘야...

공무원연금의 재정문제와 개선방안' 발표 ppt (중)-2

대안은 크게 3가지로 정리했어요. 첫번째는 수지균형구조의 공무원연금+ 퇴직금 두번째는 전체 공무원 국민연금 가입+ 퇴직금 세번째는 국민연금 수준의 공무원연금+ 퇴직금+ 저축계정입니다 해결책1에서는 급여체계의 전환을 제시했어요. 전체 구조는 공무원연금+ 퇴직수당이었던 것에 비해 수지균형구조의 공무원연금+ 민간수준의 퇴직금으로의 변화를 제안했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퇴직금은 상향되지만 비용부담률이 차등되기 때문에 수지 균형구조가 개선된다는 점이에요! 공무원연금 수준 자체가 인하되고 퇴직금이 민간수준으로 되면서 어느정도 형평성은 있어지게 되지만 적자보전금은 여전히 정부의 책임이기 때문에 조세로 메꾸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해결책 두번째에서는 전체 공무원이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민간 수준의 퇴직금을 받는 것을 제안했어요. 장점은 형평성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된다는 점이지만 단점에서 여태 발생된 미적립 채무를 당장 정부가 메꾸어줘야 한다는 점이에요. 이게 아주 치명적인게 적자보전금이 한두푼이 아닌데 다 정부에서 대준다는게 사실상 말이 안되는..! 세번째에서는 국민연금 수준의 공무원연금 + 민간 수준의 퇴직금 + 저축계정 이렇게 제안했어요. 저축계정이 생긴게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데요. 국민연금과 같은 구조의 연금제도를 만듦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에서 공적연금제도의 일원화가 가능한 점은 장점이지만 단점에서는 저축계정 제도 자체가 생기는게 또 다른 돈이 들어갈 일이 생기는거라 그 재정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었죠. 마지막 대안선택과 이유는 다음 포스팅에서 진행할게요!

공무원연금의 문제와 개선방안 (중)

문제점 다음으로는 해외의 연금 개혁 사례에요. 독일의 경우가 바로 이런 공무원연금 개혁을 매우 잘 한 사례인데요. 사실 독일의 경우는 공무원 연금말고도 모든 사회보험과 사회제도에 있어서 매우 잘 운영해나가고 있는 나라에 속하죠, 저희 조 말고도 다른 조들도 독일을 성공사례로 들어왔더라구요! 독일의 경우 1998년 2001년 2006년 이렇게 세번의 개혁을 햇는데요 각 년도에 맞게 다층적으로 변하고 있는 개혁의 모습을 볼 수 있어요. 2001년에는 공적연금 축소에 대한 보완을 하기위해서였죠. 모수개혁과 구조개혁을 하면서 리스터연금이라는 제도를 도입했어요. 이렇게 연금의 다층체계로 변모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2006년 개혁에서는 공무원 연금을 분리하여 운영하고 완전적립의 방향으로 개혁했어요. 참 어디나 공무원 연금의 재정문제는 문제인듯..! 독일의 사례를 소개하고 시사점을 도출했어요. 근본적으로는 결국 미래세대가 이 적자보전금을 내게 되기 때문에 미래 세대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가 핵심이었습니다:) 독일 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도 연금개혁의 성공사례에 속했는데요. 오타가 있네요 염금제도 아니고 연금제도! ㅋㅋㅋ 특이점은 65-44-80 원칙이라고 해서 수급 개시연령은 늘리고 완전연금 수급기간은 연장, 조기퇴직을 억제하기 위한 평균임금의 80% 수령등이 이에 속했습니다. 앞서 해외의 잘된 개혁 사례를 소개했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 그리고 한국을 한번에 정리해서 볼 수 있도록 표로 정리했어요 현재 한국의 공무원 연금 체계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격적인 대안으로 들어갔습니다. 기존 공무원연금의 체계는 공무원연금+ 퇴직수당으로 구성되어있고 비용부담률은 14%, 지급개시연령과 연금수급요건은 이미지에 나와있는대로에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