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계부채 뇌관문제가 화두입니다. 국내 총 가계부채는 1300조를 넘어섰고 이는 질적인 문제를 떠나 총량에 있어서 큰 문제라는 것입니다. 1. 가계부채 문제의 원인 a. 저금리기조로 인한 투자 활성화 현재 기준금리는 1.25%수준입니다. 처음 정부에서 금리의 수준을 계속해서 저금리로 동결했던 것은 바로 투자 활성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1.25%이면 사람들이 은행에 잘 예금을 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1000만원을 은행에 예금한다고 가정해봅시다. 1000만원을 예금해봤자 기준금리 1.25%기준이면 12만 5천원이 1년간의 이자로 들어오는것입니다. 고객들이 은행의 예금을 이용할 맛이 날까요? 바로 옆 창구에서는 펀드를 팝니다. 펀드창구에서 상담을 받아보니 연 평균 수익률이 5%라고 하네요. 1000만원의 5%는? 50만원이죠. 그렇다면 여러분은 예금에 1000만원을 맡기시겟습니까 아니면 펀드에 1000만원을 맡기시겠습니까? 저라면 펀드에 1000만원을 맡기겠습닌다. 비단 예금과 펀드의 일 만은 아닙니다. 이 1000만원을 부동산에 투자하면 10%의 수익률이 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은행에 이 돈을 저금하시겠습니까 아니면 부동산에 투자하시겠습니까? 계속해서 저금리를 유지하며 정부가 유도한것은 단 한가지입니다. 사람들이 계속해서 투자를 하기를 원했던 것이죠. 투자를 해야 내수경기가 활성화되기 때문에 금리를 낮춰 투자를 유도했던 것입니다. 금리는 낮은데 돈은 불려야겠고. 하는 사람들이 대출을 받아 부동산에 투자를 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또 한편에서는 먹고 살기 힘든 가계에서 생계형 대출이 증가합니다. 먹고 살기는 힘들어도, 살아야겠으니 생계형으로 대출이 쌓이고 경기가 나아지지 않으니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고 가계부채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이죠. 이 모든 상황의 콜라보레이션으로 가계부채 문제는 1300조까지 증가했습니다.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한것은 가계-기업-정부로 이어지는 경제구조때문입니다. ...